홍춘욱박사님 강의(9/6)
최근 유가 하락의 원인
1. 중국의 원유 소비 축소
2. 세일가스 생산량 증가
3. 산유국 원유생산량 증가
중국의 원유 소비 축소
유가전망 할때 중국의 원자재 수입증가율이 가장 중요한 지표(FRED china imports)
중국 부동산 시장 문제, 코로나 도시봉쇄 등으로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며 연료 소비량 감소
현재 유가 하락의 원인은 이러한 수요위축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
미국과 사우디의 갈등
현재 우크라이나와 전쟁중인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은 세계 3위 규모
러시아가 석유 수출을 축소하자 미국에서 생산량을 늘리고 있다
사우디는 미국의 원유생산량 증가를 경계
사우디는 이 유가 수준이면 감산을 고민하겠다(유가가 너무 높다)
세일가스 생산량 증가
설비투자는 그대로지만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다(생산기술 향상)
유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느리지만 세일가스 생산량 증가)
산유국들(OPEC)의 원유 생산량 증가
산유국들의 원유 증산에 합의
앞으로의 전망
유가의 계절적 변화
3~5월 : 상승(드라이빙 시즌)
8~10월 : 상승(난방유 소비 증가)
유럽의 난방을 위한 원유 사용량 증가(가스사용 불가)로 유가 상승할수도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가스수입이 어려울 듯)
독일의 난방유 소비자 가격이 37% 상승
러시아외 다른 나라로부터 가스관 설비를 갖추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소요
해상 부유식 가스선 수요 증가 - 우리나라 조선회사에 호재(LNG부유식 터미널)
투자포지션
유가 급락은 쉽지 않다
- 러시아산 원유 공급 차질
- 미국 세일가스 기술 아직 부족
겨울철 난방유 수요 증가
- 겨울철 유가의 반등이 예상
내년 상반기 예전의 유가(60~80달러) 수준으로 복귀할 가능성도 있다
- 난방유 시즌 끝 + 원유생산량 증가 + 계절적인 원인
정유기업
유가 급락 - 주가흐름에 좋지 않다
유가 완만 하락 - 주가흐름에 좋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A 자산배분 투자 전략(일명 게으른 투자전략) (0) | 2022.10.30 |
---|---|
연금저축을 이전(이체) 경험담(2013년 이전 가입) (0) | 2022.09.04 |
매년 임대사업자가 놓혀서는 안될 세무일정(feat 어기면 벌금) (1) | 2022.08.29 |
S&P500 장기투자, 일반계좌 OR 연금계좌 (4) | 2022.08.28 |
S&P500 ETF 국내, 해외 비교 (0) | 2022.08.25 |